Eclipse/__Setting
SVN과 SVNSERVERManager Setting
javamix
2008. 5. 13. 08:53
1. 아래의 링크에서 최신 버젼의 SVN과 SVNSERVERManager 를 다운 받거나, 첨부된 파일을 다운로드.
http://subversion.tigris.org/servlets/ProjectDocumentList?folderID=91&expandFolder=91&folderID=74
http://www.pyrasis.com/main/SVNSERVEManager
2. SVN 을 설치
3. SVN 에서 관리할 소스들을 저장할 루트 디렉토리르 생성
3-1. mkdir d:\svn
3-2. mkdir d:\svn\data
4. 프로젝트 소스 및 설정 파일들을 저장할 Repository(저장소)를 생성
(추후에 프로젝트를 새로 생성할때 마다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저장소 생성)
4-1. svnadmin create --fs-type fsfs JavaTest
(JavaTest 라는 테스트 프로젝트의 소스를 저장할 repository 생성)
4-2. D:\>svn checkout file:///D:/svn/JavaTest
위와 같은 명령을 줬을때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svn 설치된 것 임.
체크아웃된 리비전 0.
5. 설정 파일들 수정
5-1. 생성한 프로젝트 폴더(여기서는 d:\svn\data\JavaTest) 하위 디렉토리의 conf 에서 다음과 같이 수정
* 각 줄의 #는 주석이므로, 아래 문장들의 첫 문자의 #를 지워야 함.
5-1-1. svnserve.conf 파일에서
A. anon-access = none
익명 사용자는 access 못 하게끔 수정
B. password-db = passwd
passwd 라는 파일에 사용자와 비밀번호를 기록하겠다는 의도
C. realm = JavaTest
Svn에 프로젝트 이름을 JavaTest 로 설정
5-1-2. passwd 파일에서
A. [users] 섹션밑에 "아이디 = 비밀번호" 형식으로 사용자 계정 추가
ex) kws1234 = 1234567890
* 여기까지 하면 일단 SVN 은 성공적으로 설치가 된 것이다.
매번 svn server start 명령어로 svn을 구동해주기 귀찮으니... 서비스에 등록을 하자.
직접 sc service 로 등록할 수도 있지만...너무 좋은 프로그램이 있어, 그것을 이용하도록 한다.
(좋은 자료 감사합니다.)
6. 서비스에 등록해서 서버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 되게끔 설정
6-1. SVNSERVERManager 를 설치
6-2. 생성한 SVNSERVERManager 실행
6-3. 처음 시작하면 svn.exe(맞나? svnserver.exe 이던가? 암튼 경로는 같으니까...) 위치를 물어보는데, svn 설치한 경로를 지정해 주면 된다. (여기서는 C:\Program Files\Subversion\bin)
6-4. SVNSERVERManager 창이 화면에 나오면, Subversion Root Repository 에 위의 3-2 에서 생성한 SVN이 관리할 저장소 루트 디렉토리 설정.
6-5. Port 에는 3690 설정. (일반적으로 SVN은 3690을 사용하는가 보다.^^)
6-6. Run Mode 를 Service 로 설정.
6-7. Automatically run program when you log on 체크
6-8. Start 버튼 클릭
* 모든게 끝났다. Tortoise SVN 을 가지고, 함 접속해 보자.
* 혹시 윈도우즈 방화벽 사용으로 해놓았다면, 예외에서 3690은 열어두도록 하자.
http://subversion.tigris.org/servlets/ProjectDocumentList?folderID=91&expandFolder=91&folderID=74
http://www.pyrasis.com/main/SVNSERVEManager
2. SVN 을 설치
3. SVN 에서 관리할 소스들을 저장할 루트 디렉토리르 생성
3-1. mkdir d:\svn
3-2. mkdir d:\svn\data
4. 프로젝트 소스 및 설정 파일들을 저장할 Repository(저장소)를 생성
(추후에 프로젝트를 새로 생성할때 마다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저장소 생성)
4-1. svnadmin create --fs-type fsfs JavaTest
(JavaTest 라는 테스트 프로젝트의 소스를 저장할 repository 생성)
4-2. D:\>svn checkout file:///D:/svn/JavaTest
위와 같은 명령을 줬을때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svn 설치된 것 임.
체크아웃된 리비전 0.
5. 설정 파일들 수정
5-1. 생성한 프로젝트 폴더(여기서는 d:\svn\data\JavaTest) 하위 디렉토리의 conf 에서 다음과 같이 수정
* 각 줄의 #는 주석이므로, 아래 문장들의 첫 문자의 #를 지워야 함.
5-1-1. svnserve.conf 파일에서
A. anon-access = none
익명 사용자는 access 못 하게끔 수정
B. password-db = passwd
passwd 라는 파일에 사용자와 비밀번호를 기록하겠다는 의도
C. realm = JavaTest
Svn에 프로젝트 이름을 JavaTest 로 설정
5-1-2. passwd 파일에서
A. [users] 섹션밑에 "아이디 = 비밀번호" 형식으로 사용자 계정 추가
ex) kws1234 = 1234567890
* 여기까지 하면 일단 SVN 은 성공적으로 설치가 된 것이다.
매번 svn server start 명령어로 svn을 구동해주기 귀찮으니... 서비스에 등록을 하자.
직접 sc service 로 등록할 수도 있지만...너무 좋은 프로그램이 있어, 그것을 이용하도록 한다.
(좋은 자료 감사합니다.)
6. 서비스에 등록해서 서버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 되게끔 설정
6-1. SVNSERVERManager 를 설치
6-2. 생성한 SVNSERVERManager 실행
6-3. 처음 시작하면 svn.exe(맞나? svnserver.exe 이던가? 암튼 경로는 같으니까...) 위치를 물어보는데, svn 설치한 경로를 지정해 주면 된다. (여기서는 C:\Program Files\Subversion\bin)
6-4. SVNSERVERManager 창이 화면에 나오면, Subversion Root Repository 에 위의 3-2 에서 생성한 SVN이 관리할 저장소 루트 디렉토리 설정.
6-5. Port 에는 3690 설정. (일반적으로 SVN은 3690을 사용하는가 보다.^^)
6-6. Run Mode 를 Service 로 설정.
6-7. Automatically run program when you log on 체크
6-8. Start 버튼 클릭
* 모든게 끝났다. Tortoise SVN 을 가지고, 함 접속해 보자.
* 혹시 윈도우즈 방화벽 사용으로 해놓았다면, 예외에서 3690은 열어두도록 하자.